본문 바로가기
주식

쎄트렉아이 주가 전망 2025, 실적과 위성 개발이 말해준다 (78점)

by gossine 2025. 4. 16.

2025년 4월 기준, 쎄트렉아이는 위성 시스템과 고해상도 탑재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최근 실적 둔화와 자회사 이슈가 겹치면서 주가 흐름은 잠시 주춤한 상태죠. 이제 중요한 건, 숫자보다도 ‘기술과 방향성’입니다.

쎄트렉아이 대표이미지

🛰 쎄트렉아이는 어떤 기업인가요?

쎄트렉아이는 중·소형 위성 시스템, 고해상도 광학 탑재체, SAR 기술 등 우주항공 기술 전반에 걸쳐 전문 역량을 갖춘 기업입니다. 단순 부품 제조에 그치지 않고, 위성 설계 → 조립 → 운영 → 데이터 분석까지 ‘엔드투엔드(End-to-End)’ 솔루션을 갖춘 게 가장 큰 차별점이죠.

국내외 주요 국방·민간 기관과의 수주 계약을 통해 UAE, 유럽,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수출 실적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체 위성 브랜드 SpaceEye 시리즈를 바탕으로 글로벌 상업 위성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핵심 포인트
쎄트렉아이는 위성을 단순히 '만드는' 회사를 넘어, 위성을 ‘운영하고 활용하는’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위성 개발 기술력과 SpaceEye 프로젝트

쎄트렉아이는 자체 위성 브랜드 ‘SpaceEye’를 통해 0.5m급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한 위성을 이미 상용화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에는 0.3m급 초고해상도 위성(SpaceEye-T) 개발을 완료하며, 글로벌 상업 위성 시장에서도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영상 분석 플랫폼인 오비전(Ovision)과 연계한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 단순 위성 공급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 영상 판매 사업’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위성 한 대의 성능이 아닌, 데이터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 요약 위성 제조 → 영상 분석 플랫폼까지 확장한 쎄트렉아이는 단순 제조기업이 아닌 ‘우주 영상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실적 흐름과 수익 구조

쎄트렉아이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71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6%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 -31억 원으로 적자를 기록했고, 이는 전년(-44억 원) 대비 소폭 개선된 수치입니다.

출처: 네이버 증권

영업 손실의 주요 원인은 자회사 오비전AI와 SIA의 적자 지속 및 일부 대형 프로젝트 일정 지연에 따른 매출 인식 지연입니다. 이로 인해 수익 구조의 불안정성이 드러났지만, 당기순이익은 62억 원 흑자를 기록해 일부 회복의 조짐도 보였습니다.  현재 수주 잔고는 5,417억 원에 달하며,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주 실적이 반영되는 매출 회복 국면이 기대됩니다.

📈 주가 흐름과 상승 여력

2025년 4월 11일 기준 쎄트렉아이 주가는 43,200원으로, 연초 대비 하락했지만 최근 한 달간 +1.29% 상승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는 59,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약 36% 상승 여력이 존재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주 잔고와 신규 위성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수주 잔고는 약 5,417억 원, 총 수주 규모는 1조 원 이상으로 향후 실적 가시성이 높은 편입니다​.

⚠️ 단기 리스크와 관리 포인트

가장 큰 단기 리스크는 오비전AI의 적자 지속입니다. AI 기반 영상 분석 사업은 기술 성숙도가 높으나 수익화에는 시간이 필요한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연결 손익 구조에 부담이 계속되고 있죠.

 

또 다른 리스크는 일정 지연입니다. 대규모 수주 프로젝트 중 일부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매출 인식 타이밍이 밀리고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분기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입니다.

⚠️ 핵심 리스크 요약
  • AI 영상 분석 자회사 실적 부진
  • 대형 프로젝트 일정 지연 → 실적 타이밍 리스크
  • 해외 수출 확대는 필수 전략이나, 경쟁 심화 존재
✔️ 요약 포인트 실적은 잠시 주춤했지만, 쎄트렉아이는 기술력과 수주 기반을 통해 회복을 준비 중입니다. 자회사 구조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재도약은 그리 멀지 않습니다.

📊 쎄트렉아이 종목 평가표 (2025.04 기준)

항목 세부 평가 기준 점수 (100점 만점)
성장 가능성 글로벌 시장 확장 및 신규 프로젝트 23 / 25
수익 구조 안정성 수주 잔고 확보 vs 자회사 손실 부담 15 / 25
기술 신뢰도 고해상도 SAR 및 광학 기술 20 / 20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 유럽·중동 신규 시장 진출 12 / 15
위험 요소 관리 자회사 적자 및 프로젝트 지연 위험 8 / 15
✔️ 총점: 78점 / 100점
단기 리스크는 존재하지만,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 전략을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기대가 높습니다.

🧠 핵심 요약 정리

  • 2024년 실적 부진 원인은 자회사 적자와 프로젝트 일정 지연
  • 2025년 1분기부터는 실적 회복 가능성 가시화, 수주 잔고 5,417억 원 유지
  • 기술 신뢰도는 SAR·광학 탑재체로 매우 높음, SpaceEye-T 상용화도 완료
  • 중동·유럽 위성 수출 확대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전환이 장기 성장 전략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쎄트렉아이의 가장 큰 기술 경쟁력은?
    A. 0.3m급 초고해상도 위성과 고정밀 SAR 기술이 핵심이며, 이는 글로벌 민간·국방 시장 모두에 통용됩니다.
  • Q2. 현재 주가 상승 여력은 얼마나 되나요?
    A. 증권사 평균 목표가는 약 59,000원으로, 2025년 4월 현재 주가(43,200원) 대비 약 36% 상승 여력이 존재합니다.
  • Q3.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어떤 개선이 필요하나요?
    A. 오비전AI 등 자회사의 적자 개선과 프로젝트 일정 회복이 가장 시급한 과제입니다.

📌 우주산업, 이제는 데이터의 시대

쎄트렉아이는 단순히 위성을 만드는 기업이 아닙니다. 위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활용하는 ‘우주 데이터 비즈니스’의 미래를 그리고 있습니다. 자회사 이슈와 실적 둔화는 현실이지만, 그 너머에는 위성 + AI + 데이터라는 긴 호흡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죠.

 

※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입니다.
최종 투자 판단은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2차전지 양극재 대장주 포스코퓨처엠, IRA 수혜 제대로 받을까?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일시적 둔화 국면에 접어든 지금, 진짜 중요한 건 ‘회복 이후’ 시장에서 어떤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그 중심에 서 있는 포스코퓨처엠, 과연 IRA 수혜를

gossinesan.tistory.com

 

 

플리토의 AI 번역 기술력과 사업 구조 전망 (65점)

AI 번역 시대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 중 단순 번역 서비스를 넘어 언어 데이터를 수출하는 모델을 갖춘 기업은 많지 않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업, 플리토는 최근 실적과 기술력 모두

gossinesan.tistory.com

 

 


💬 명언 로딩 중...
loading
잠시만 기다려주세요...